programming/TIL

[SEO]검색엔진 최적화_밋업 후기

mimyo_ 2020. 8. 2. 12:58

[2020. 08. 01]

「케이밋업 38회 "SEO 마케팅 달인과 함께 하는 빡공밋업!!!"」에 참가한 뒤, 배운 점. 생각해볼 점.

 

1. 검색엔진의 역할에 대해 생각하게 됨

  : "정보를 찾는다"는 needs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을 조금 이해하게 됨

  - 검색하는 사람이 원하는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.

  - 불필요한 정보, 불 건전한 정보는 필터링을 해야함.

 

2. 검색엔진에서 정보를 보여주는 순위를 정하는 방식에 대해 생각해보게 됨

 1) 정보의 질을 판단

  - 구조화 된 정보

   ・HTML의 구조. title, H1, meta tag등의 구조

      : HTML의 태그는 화면의 시각적 구성을 할 뿐 아니라, 정보를 구조화 하는 것이다.

   ・ 사이트 내 페이지 간 구조화 정도

      : 상호 참조도? 각 페이지 간 검색어의 관련 정도?

  - 서술의 적절도

   : 검색어와 관련된 표현, 단어 포함 정도(근거가 있어야함. 단순 반복은 스팸으로 인식)

 2) 소비자가 선호하는 정보의 형태를 판단

  - 검색엔진에서는 클릭 수 를 근거로, 검색어에 따라 선호하는 정보의 형태를 판단함.

   : 이미지를 먼저 보여줄 것인가? 특정 사이트를 먼저 보여줄 것인가?

 3) 화면의 구성을 판단

  - 데스크탑 페이지이냐, 모바일 페이지이냐, 반응형이냐에 따라 다르게 반응함.

   : 근래에는 모바일 화면(반응형 포함)을 먼저 스캔한다고 함. PC보다 스마트폰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음을 시사.

  * 데스크탑 페이지와 모바일 페이지의 URL이 다르다면, tag로 같은 페이지임을 링크시켜주는 것이 좋음

 

3. 마케팅 측면에서의 검색엔진의 위치를 생각해보게 됨

 1) 현대인은 인터넷(검색엔진)에서 정보를 가장 많이 습득한다.

 2) 인터넷의 특성상, 수많은 정보 중 보다 먼저 그리고 자주 노출되는 것이 유리하다.

   : 이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. 다른 가치와 충돌 될 경우, 브랜드에 더 맞는 가치를 선택할 수 있다.

 

4. 검색엔진에서 나의 정보가 먼저 노출되게 하는 것을 위해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SEO

   SEO는 구체적으로 어떤 일들을 하는 가?

 1) target이 선호하는 검색엔진을 기준으로, 검색엔진의 process를 분석

  - 검색엔진 어떤 기준으로 검색결과에 띄우는 순위가 결정되는 가?

 2) 사이트 노출을 위한 전략을 수립

  - 어떤 단어를 검색했을 때 사이트를 노출시키고 싶은가?

  ・ 흔히 사용되는 단어(일반적인 표현) vs 유니크한 단어(구체적인 표현)

  ・ 노출 빈도 상승 vs 브랜드 가치 전달

    : 충돌되지 않는 개념일 수 있음.

  - 검색결과 1~10page에 노출되기 위해 사이트 구성, HTML구조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?

 

SEO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상태에서 들었기에, 많이 아쉬움이 남는 강의였다.
기초 개념이 확립된 상태에서 수강했다면, 구체적인 전략에 더 집중할 수 있었을 텐데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