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2020. 08. 01]
「케이밋업 38회 "SEO 마케팅 달인과 함께 하는 빡공밋업!!!"」에 참가한 뒤, 배운 점. 생각해볼 점.
1. 검색엔진의 역할에 대해 생각하게 됨
: "정보를 찾는다"는 needs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을 조금 이해하게 됨
- 검색하는 사람이 원하는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.
- 불필요한 정보, 불 건전한 정보는 필터링을 해야함.
2. 검색엔진에서 정보를 보여주는 순위를 정하는 방식에 대해 생각해보게 됨
1) 정보의 질을 판단
- 구조화 된 정보
・HTML의 구조. title, H1, meta tag등의 구조
: HTML의 태그는 화면의 시각적 구성을 할 뿐 아니라, 정보를 구조화 하는 것이다.
・ 사이트 내 페이지 간 구조화 정도
: 상호 참조도? 각 페이지 간 검색어의 관련 정도?
- 서술의 적절도
: 검색어와 관련된 표현, 단어 포함 정도(근거가 있어야함. 단순 반복은 스팸으로 인식)
2) 소비자가 선호하는 정보의 형태를 판단
- 검색엔진에서는 클릭 수 를 근거로, 검색어에 따라 선호하는 정보의 형태를 판단함.
: 이미지를 먼저 보여줄 것인가? 특정 사이트를 먼저 보여줄 것인가?
3) 화면의 구성을 판단
- 데스크탑 페이지이냐, 모바일 페이지이냐, 반응형이냐에 따라 다르게 반응함.
: 근래에는 모바일 화면(반응형 포함)을 먼저 스캔한다고 함. PC보다 스마트폰으로 이용하는 사용자가 많음을 시사.
* 데스크탑 페이지와 모바일 페이지의 URL이 다르다면, tag로 같은 페이지임을 링크시켜주는 것이 좋음
3. 마케팅 측면에서의 검색엔진의 위치를 생각해보게 됨
1) 현대인은 인터넷(검색엔진)에서 정보를 가장 많이 습득한다.
2) 인터넷의 특성상, 수많은 정보 중 보다 먼저 그리고 자주 노출되는 것이 유리하다.
: 이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. 다른 가치와 충돌 될 경우, 브랜드에 더 맞는 가치를 선택할 수 있다.
4. 검색엔진에서 나의 정보가 먼저 노출되게 하는 것을 위해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SEO
SEO는 구체적으로 어떤 일들을 하는 가?
1) target이 선호하는 검색엔진을 기준으로, 검색엔진의 process를 분석
- 검색엔진 어떤 기준으로 검색결과에 띄우는 순위가 결정되는 가?
2) 사이트 노출을 위한 전략을 수립
- 어떤 단어를 검색했을 때 사이트를 노출시키고 싶은가?
・ 흔히 사용되는 단어(일반적인 표현) vs 유니크한 단어(구체적인 표현)
・ 노출 빈도 상승 vs 브랜드 가치 전달
: 충돌되지 않는 개념일 수 있음.
- 검색결과 1~10page에 노출되기 위해 사이트 구성, HTML구조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?
SEO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상태에서 들었기에, 많이 아쉬움이 남는 강의였다. 기초 개념이 확립된 상태에서 수강했다면, 구체적인 전략에 더 집중할 수 있었을 텐데. |
'programming > 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지옥에서 온 Git] 개념_reset, merge, conflict (0) | 2020.08.08 |
---|---|
[지옥에서 온 Git]개념_branch (0) | 2020.08.03 |
[지옥에서 온 Git]개념_merge와 conflict (0) | 2020.07.31 |
[지옥에서 온 Git]command_branch (0) | 2020.07.29 |
[지옥에서 온 Git]개념_기본 (0) | 2020.07.28 |